쿠팡 창업자 김범석 의장이 지난해 말 약 672억 원 규모의 쿠팡 주식을 미국 내 자선기금에 기부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쿠팡 측은 “기부금이 미국에만 사용된 것은 아니다”라며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다.
11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장 안호영 의원실이 공개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자료에 따르면, 김범석 의장은 지난해 11월 쿠팡 클래스A 보통주 200만주를 자선기금에 전량 기부했다. 당시 주가 기준으로 약 672억 원 규모로, SEC 공시에는 기부처가 ‘a fund for charitable donations(자선기금)’으로만 표기돼 있었다.
의원실 확인 결과 해당 자선기금은 미국 내 법인으로 드러나면서, 매출의 대부분이 한국에서 발생하는 쿠팡이 사실상 ‘국내 환원 없는 해외 기부’를 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안 의원은 “쿠팡은 한국의 소비자와 노동자들의 노력으로 성장한 기업”이라며 “이익의 대부분이 한국에서 나오는 만큼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논란이 확산되자 쿠팡은 “사실과 다르다”고 즉각 반박했다. 회사 측은 “기부금의 운용 계정이 미국에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를 통해 국내 의료기관과 종교단체 등에도 기부가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해당 계정은 단순히 실무적인 기부금 운영을 위한 계좌일 뿐, 기부금이 미국에만 쓰인다는 해석은 오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안을 두고 “미국 시민권자인 김범석 의장이 미국 내 자선단체에 기부할 경우 세금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해외 단체에는 혜택이 없다”며 “세법상 유리한 구조를 택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한편, 쿠팡은 올해 들어 3개 분기 연속으로 2천억 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한 12조8천억 원으로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김범석 의장의 ‘미국 기부 논란’이 국내 사회적 책임 논의로 이어질지, 혹은 쿠팡의 해명처럼 ‘국내외 병행 기부’로 정리될지는 당분간 공방이 계속될 전망이다.
